CJ프레시웨이는 기후변화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을 위해 외부 환경 분석, 리스크와 기회요인 식별,
대응 방안을 수립하여 관리합니다.
앞으로도 실현 가능한 목표 수립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적극적 대응 액션을 추진해 나갈 예정입니다.
| 당사에 미치는 영향 | 당사 대응 현황 | 향후 대응 방안 | ||
| 물리 리스크 |
급성 (폭염,산불,홍수) |
생산 중단 및 사업 기회 손실 자산 손상에 따른 복구 비용 발생 임직원 생산성 저하 |
사업장 안전 점검 재난 대비 대응 훈련 실시 |
사업장 점검 및 설비 보수 재해 대응 매뉴얼 개선 |
|
만성 (기상 패턴 변화, 해수면 상승, 물 부족)> |
자산 손상 및 복구 비용 발생 연안 지역의 침수 피해 위험 증가 물 부족으로 인한 설비 가동률 저하 |
만성 리스크 요인별 모니터링 시행 물 부족 지표 관리 |
고위험 사업장 대상 안전설비 투자 해수면 상승 영향도 검토 기준 수립 물 사용 효율성 개선 |
|
| 전환 리스크 |
정책 및 법률 |
탄소 감축에 따른 운영 비용 증가 폐기물 처리 장치 투자 비용 증가 |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Scope 1, 2) |
Scope3 배출량 산정 신재생 에너지 도입 |
| 기술 |
친환경 기술 개발 투자 비용 증가 친환경 설비 투자 비용 증가 |
시설 교체 주기 관리 및 설비투자 |
고효율 설비 도입 친환경 인프라 구축 확대 |
|
| 시장 및 명성 |
저탄소 제품의 고객 선호도 증가 경쟁사 대비 경쟁력 저하 제품 매출 감소 |
저탄소 메뉴 도입 및 홍보 지속 가능한 상품 개발 및 확대 ESG 공시 데이터 영역 확대 |
저탄소/친환경 상품 유통 확대 ESG 공시 강화 |
|
| 기회 | 자원효율성 |
에너지 및 자원 비용 감소 |
에너지 사용 현황 모니터링 및 비용 관리 |
노후 시설 교체 및 신규 투자 사업장별 에너지 저감 목표 수립 |
| 상품/서비스 |
신규 비즈니스 기회 증가 |
친환경 상품 인증 취득 및 확대 (무항생제/무농약/ASC·MSC 인증 등) 자원순환 관련 외부 파트너십 구축 |
친환경 상품 카테고리 및 인증 확대 신규 비즈니스 기회 발굴 |
| 에너지원 | 감축 활동 계획 |
| 전기 |
하절기 및 동절기 온도 조절을 위한 외조기, 에어컨 사용 작동•비작동 체계 수립과 작동
시기 협의 설비, 전등, PC 미사용 시 전원 차단 구역별 온도 관리를 위한 교육 및 협조 요청 전기 효율 향상 및 사용량 절감을 위한 설비 예방 장비 |
| 가스(LPG) |
청관제 및 스케일분산제 활용, 배관 점검 등 보일러 유지보수 활동 강화 점심시간 중 보일러 작동 중지 스팀 및 가스 사용 설비 예방 정비를 통한 효율화 |
CJ프레시웨이는 이천물류센터에 바람막을 형성하여 시설물로의 냉기 유입과 유출을 방지하는 에어커튼
장비를 도입하였습니다.
에어커튼은 전기 에너지 소비 증가 및 천장 결로수의 낙수로 인한
안전사고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며,
도입 후 에너지 효율이 33% 향상되었습니다.
바람순환구조를
통한 바람막 생성
바람배기
바람흡기
바람분출
바람흡기
올림
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