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플라이언스 활동

다양한 컴플라이언스 활동을 통해 경영활동 전반에 준법 철학을 반영하고, 임직원들이 스스로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 운영합니다.

ISO37301 준법경영시스템을 기반으로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준법통제 및 모니터링 활동을 지속 수행합니다.

ISO37301 준법경영시스템 인증 최초 취득('22.8) 이후 재인증 획득(8월)
'리스크 식별 – 준법통제 – 모니터링'의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CP) 운영
Compliance Management System(CMS) 도입('23) 후 체계적 활동 수행

준법경영 회의체의 운영을 통해 주요 경영활동에 준법 정책을 반영합니다.

준법경영 위원회: 연 1~2회 운영(상/하반기)
컴플라이언스 코디네이터 컨퍼런스: 연4회 운영(분기별)

온/오프라인 교육을 통해 임직원이 준법을 실천하도록 합니다.

① 기본 역량: 컴플라이언스 입문교육(신규 입사자, 연 2회)
② 공통 역량: 행동강령, 부패방지, 공정거래(전 구성원, 연 1회)
③ 심화 역량: 각 조직별 업무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각 조직별, 각 연 1회 이상)

지속적인 컴플라이언스 소통으로 임직원의 준법의식을 제고하고 회사의 준법의지를 내·외부에 알립니다.

CEO 준법경영 메시지: 연 2회 이상(사내방송/게시판)
컴플라이언스 뉴스레터: 규제동향 및 컴플라이언스 제도 안내(수시 발송)
컴플라이언스 인식도 조사: 연 1회

조직별 경영진(임원) 및 준법활동 실무자 평가에 컴플라이언스 항목을 설정하여 컴플라이언스 활동의 실행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경영진(임원) 평가에 컴플라이언스 항목 설정: ’22년 부터 매 연간 설정
조직별 준법활동 실무자 지정 및 평가에 컴플라이언스 항목 설정: ’23년 부터 매 연간 설정

자회사와 해외법인, 협력업체들이 준법경영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컴플라이언스 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합니다.

협력사 행동규범 제정 및 배포('23) 후 표준계약서 개정 등 관련 절차 정비
해외법인(미국/중국/베트남) 컴플라이언스 활동 결과 모니터링

규제동향 및 환경변화를 파악하고 제도준수를 위한 대응책을 마련하여 시행합니다.

컴플라이언스 뉴스레터, 코디네이터 회의를 활용한 규제동향 전파
새로운 제도의 준수를 위한 프로세스를 신속히 마련하여 시행
(생계형적합업종법, 중대재해처벌법 등)

제도의 능동적, 선제적 이행을 통해 협력업체와의 공동 발전을 추구합니다.

생계형 적합업종 제도 이행: 두부류, 장류(간장/고추장/된장), 면류(냉면/국수) 등 회사 지정 품목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 수행
하도급대금 공정거래 문화 확립: 하도급대금 분쟁조정기구 설치 및 관련 규정 제정('23) 후 비상시적 운영

2024년 주요활동

① 준법경영 회의체: 준법경영위원회, 컴플라이언스 코디네이터 운영(총 5회)
② 컴플라이언스 교육: 경영리더 및 사외이사 교육, ISO37301 내부심사원 교육, 대리점법 안내, 하도급법 안내, 사규관리시스템 안내 등 교육 실시(총 8회)
③ ISO37301 운영: 컴플라이언스 포탈 체계 고도화 기반 사후심사 통과
④ 컴플라이언스 커뮤니케이션: 사내방송, 홈페이지, 협력사 시스템 활용한 CEO 준법경영 메시지 전파(총 4회)

2023년 주요활동

① 준법경영 회의체: 준법경영위원회, 컴플라이언스 코디네이터 운영(총 6회)
② 컴플라이언스 교육: 청탁금지법 이해, 대리점법 안내, 하도급법 안내, 표시광고법의 이해와 최근 동향 등 교육 실시(총 8회)
③ ISO37301 운영: 리스크 모니터링 프로세스 수행 기반 사후심사 통과
④ 상생협력 이행: 생계형 적합업종 상생노력 우수 유공자 표창 수상(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하도급대금 분쟁조정기구 설치 및 관련 규정 제정

사이트맵